세계의 특수부대
세계의 대표적인 특수부대를 소개해드립니다.

미국의 다양한 특수부대 중 그레베레, 델타포스, 레인저, 네이비 실, 마린 레이더스, 공군특수부대, Marine recone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린베레 (Green Berets) 미국
그린베레 스나이퍼는 1952년 애론 뱅크(Aaron Bank) 대령에 의해 창설된 美 육군의 특수부대로, '10 공수특전대'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린베레는 요원들이 녹색 베레모를 쓴 데서 붙여진 별명이다. 이 부대는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 공수부대, 레인져 부대 및 제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했던 예비역들로 구성되었다. 창설자인 뱅크 대령에 의하면 주 임무는 '육해공으로부터 적지에 침투하여 저항군이나 게릴라를 양성하여 유격전을 펼치는 것'이며, 또 다른 임무는 적지 깊숙히 침투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폭동을 일으키는 것이다. 레인져는 강력한 기습 공격을 주로 하지만 그린베레는 적지에서 수개월간을 지내며 작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린베레 요원들은 제한된 물자로 생존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있다. 1952년 말 한국전쟁에 첫 번째 그린베레 요원들이 실전에 투입되었다. 이후 1957년 일본 오끼나와에서 훈련팀이 창설되었는 데, 이 부대는 남베트남에 파견되어 군사자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린베레는 케네디 대통령 당시 전폭적인 지원으로 전성기를 맞았으며, 이에 훈련학교의 이름을 'John F. Kennedy Special Warfare Center'라고 바꾸기도 했다. 1971년 베트남에서 철수한 후 그린베레 요원의 수는 줄어들었으나 새로운 훈련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으며 부대 내에도 변화가 일었다. 1980년대에는 세계 각국에 파견되었으며 특히 중미의 온두라스, 엘살바도르에서는 특수부대의 훈련을 돕기도 했다. 또 1989년 12월 파나마에서의 작전에 투입되기도 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델타포스 (Delta Force) 미국
델타포스는 정규군이 투입되기 힘든 상황에 뛰어들어 요인 암살, 인질 구출, 적 기지 파괴 등의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미 육군의 특수부대이다.
주로 해외에서 활동하며, 대사관 및 항공기 인질 구출 작전, 마약 및 핵물질밀매단 와해 공작 등을 수행한다. 델타포스는 특수전 장교 출신이자, SAS(Special Air Services, 영국 육군 공수특전단)에서 근무한 바 있는 차알스 베크위드(Charles Beckwith)에 의해 1977년 11월 창설됐다. 본부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랙(FortBragg)에 있다. 델타포스는 육·해·공군의 다른 특수부대와 달리 특수전사령부(USSOCOM)의 통제 체계에서 벗어나 '연합특전사'(JSOC: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의 지휘 체계 하에 있다. JSOC 산하에 있는 부대는 특수부대 가운데서도 가장 비밀을 요하는 임무만을 수행하는 부대들로 해군의 연구개발단(DevGRU)과 육군의 160항공단, 공군의 제2항공사단 일부가 여기에 해당한다. 델타포스는 1981년 인도네시아 여객기 구출작전, 1984년 베네수엘라 여객기 인질 구출작전, 1989년 파나마 침공 시 미국인 인질 구출작전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그러나 1979년 이란 혁명 때 수도 테헤란 주재 미국대사관에 억류된 미국 인질 66명을 구하려다 실패하였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레인저 (Ranger) 미국
그린베레, 델타포스와 함께 미국 육군의 3대 특수부대로, 미 육군 특수작전사령부 소속의 경보병 특공부대이다.
전통적으로 착용해온 검은 베레모가 유명하다. 레인저 부대의 임무는 일반적으로 어떤 악조건 하에서도 적진에 맨 먼저 침투, 신속한 공격을 통해 활주로와 기타 목표지점을 점령한 후 다른 증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사수하는 것이다. 특히 공항 점령과 기습은 이들의 가장 중요한 임무이다. 모두 자원병으로 이루어진 레인저는 공중, 지상, 해상 등 어떤 경로로도 침투하고 극지, 정글, 사막,산악 지형 등 어떤 상황에서도 싸울 수 있도록 지옥훈련을 받고 있다. 이에 지원자 200명 중 1명 정도가 최종 과정을 마칠 정도로 선발이 까다롭고 여성 대원은 없다. 레인저는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이전부터 존재해 왔으며, 특수부대로서 본격적인 모습을 드러낸 것은 제2차 세계대전 때이다. 당시 이 부대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절벽을 기어올라 대형 포대를 폭파하는 등 혁혁한 전과를 올렸으며, 이후 베트남전과 1983년 그레나다, 1989년 파나마에서 명성을 쌓았다. 하지만 1980년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 인질 구출작전과 1993년 소말리아에서 모하메드 파라아이디드 체포작전에서 실패한 경험도 있다. 베트남전 이후에는 각 보병, 공수사단에 산재된 레인저 중대가 통합되어 '제75레인저연대'라는 단일지휘체계로 발족되었으며, 연대 본부는 조지아주 포트베닝에 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비실 (Navy Seal) 미국
미국 해군의 엘리트 특수부대로, 네이비실에서 SEAL은 해상(Sea), 항공(Air), 육상(Land)의 영문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육·해·공 어디서든지 전투가 가능한 전천후 부대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1962년 1월 1일 케네디 대통령의 특명에 의해 창설됐다. 미 해군의 특수전사령부(Special Operation Command) 산하에 속해 있는 SEAL은 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제 1특수전단에 1·3·5 팀이, 대서양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제 2특수전단에 2·4·6·8 팀이 소속되어 있다. 특히 SEAL팀은 베트남전에 참가하여 군수기지(Logistics Base) 폭파 및 고급정보 수집에 커다란 공헌을 했으며, 쿠바 미사일 위기 때에도 투입되어 미국의 외교정책을 측면에서 지원하기도 했다. SEAL팀이 순수한 군사업무의 수행에서 대테러리즘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79년 12월 발생한 이란 테헤란 미국 대사관 점거사건 이후부터다. 당시 444일간이나 계속된 대사관 사건 이후 미국 정부는 SEAL 내에 100명 규모의 SEAL-6를 창설하여 대테러리즘 능력을 보강하게 되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Seal Team-6 미국
해군 정보 인원 중에서도 정예인원을 선발하며, 델타포스와 함께 합동특수전사령부 소속되어있다.
네이비실은 1979년 11월 이란 주재 미국 대사관 점거 사건 때 억류된 인질 100여 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대원 8명을 잃었다. 이에 해군 정보 인원 중에서도 정예요원을 선발, 100여 명으로 구성된 실 팀 6(SEAL Team 6)이 구성돼 대테러전문 부대로의 육성이 이뤄졌다. SEAL Team 6는 델타포스와 함께 합동특수전사령부(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에 소속되어 있으며, 데브그루(DEVGRU·Development Group)로도 불린다. 대원 선발과 훈련이 혹독하기로 이름이 높으며, 적장(敵將) 참수 등 가장 까다로운 임무를 맡는 팀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마린 레이더스 (Marine Raiders) 미국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등 최전선에서 대테러전 및 침투 작전 등을 수행하는 미 해병대 특수전사령부(MARSOC)으로, 2006년 2월 테러와의 전쟁을 위해 창설됐다.
이는 태평양 전쟁 때인 1942년 발족했다가 2년 만에 해체됐던 당시 특공대의 이름을 이어받은 부대이다. 미 해병원정대(MEU)미 해군당국은 MEU(Marine Expeditionary Unit)가 편제상 '특수부대'는 아니지만 '특수전이 가능한 부대'라고 말한다. 해상으로부터의 작전을 지원하는 것이 주임무로, 장비와 병참 및 기술 지원·무기·군함 면에서 일반 부대보다 다양하고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막강한 전투능력을 갖추고 있다. MEU의 보병대대는 일반적으로 육해공 합동작전에 투입되며 경무장 운송수단을 사용한다. 또 공군작전부대는 헬리콥터와 헤리어젯(Harrier jets)같은 고정날개가 장착된 군항기를 이용한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공군특수부대 (Air Force Special Operation Forces) 미국
공군특수부대는 근접항공 지원을 제공하는 부대로, 저격, 급유 및 지원 업무 등도 수행한다. 이 부대는 최첨단의 항법, 정찰 장비를 갖추고 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Marine Recone 미국
Marine Recon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그 존재가 알려진 부대로, 1944년 이전에는 정찰·저격 부대였으나 1944년 4월 상륙 정찰임무의 2개 대대가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UDT(Underwater Demolition Team, 수중폭파팀)와 공동으로 해변 정찰 및 수위 측량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5년 초에는 UDT와 함께 이오지마섬에 투입되어 작전에 임하기도 했다.한국전쟁에서는 한국 동해에서 UDT와 함께 철도, 터널 및 교량 폭파의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적 후방 200마일 지점에서 후방 교란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특히 1951년에는 미 해병대 역사상 최초의 헬리콥터 침투공격을 시도하였다. 또 1965년 베트남전쟁에서는 담당 부대를 지원하여 작전에 임했으며 적의 중심 깊은 곳에서 장거리 정찰 작전을 실시하였다. 1976년부터는 인질 구출작전에도 투입되었으며, 1977년에는 저격병이 추가되어 전투력이 향상되기도 하였다. 이후 1983년 10월에는 그레나다 침공에 투입되었으며 1989년에는 파나마에서의 'Just Cause' 작전에 투입되었다. 1990년에는 걸프전에 투입되어 이라크와의 최전선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하여 미 해병대에게 적의 이동로를 알려기도 했으며 걸프전에서 238명의 이라크 군을 포로로 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미합중국 군대의 특수전 통합사령부
미합중국 군대의 특수전 통합사령부 (Unified Combatant Command) 는 미특수작전사령부 (USSOCOM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입니다.
미합동특수작전사령부 (USJSOC : United States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미육군특수작전사령부 (USASOC : 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미해군특수전사령부 (USNSWC : United States Navy Special Warfare Command)
미공군특수작전사령부 (USAFSOC : United States AirForce Special Operations Command)
미해병특수작전사령부 (USMARSOC : United States Marine Corps Special Operations Command)가 배속되어있습니다.
또한 미합중국 군대의 지역사령부에도 특수작전구성군사령부가 배속되어있습니다.
미북부사령부 (USNORTHCOM : United States Northern Command)
미북부특수작전사령부 (USSOCNORTH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 Command Northern)
미남부사령부 (USSOUTHCOM : United states Southern Command)
미남부특수작전사령부(USSOCSOUTH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 Command Southern)
미태평양사령부 (USPACOM : United States Pacific Command)
미태평양특수작전사령부 (USSOCPAC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 Command Pacific)
미중부사령부 (USCENTCOM :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미중부특수작전사령부 (USSOCCENT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 Command Central)
미유럽사령부 (USEURCOM : United States Europe Command)미아프리카사령부 (USAPRICOM : United States Aprica command)
미유럽아프리카특수작전사령부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 Command Europe aprica)
주한미특수작전사령부 (USSOCKOR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 Command Korea)
보통 미육군 특수전작전부대를 스페셜포스 (Special Forces)라 부르고 미해군특수전작전부대를 네이비씰 (Navy SEAL)이라 부릅니다.
델타포스라고 부르는 부대는 미육군 제 1특전단 D분견대 (United States Army 1st. Special Forces Detachment Delta)를 지칭하는 부대로써 미합동특수작전사령부에 소속되어있습니다. 데브그루 (Devgru) 혹은 씰식스팀 (Navy SEAL 6)이라 부르는 부대는 미해군특수전개발단 (United staes Navy Special Development Group) 을 지칭하는 부대입니다. 델타포스와 함께 미합동특수작전사령부에 소속되어있으며 최정예 특수전부대입니다. 미육군특수작전사령부 (USASOC : 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예하에 작전담담부대인 미육군특수전단 (USASFC : United States Army Spcial Forces Command)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특수전사령부가 미육군특수작전사령부를 모델로하여 창설되었으며 707 특수임무대대가 델타포스를 모방하여 창설된부대입니다. 우리나라의 보통 UDT SEAL (Underwater Demoliton Team / Sea, Land Airbone)이라 부르는 해군특수전여단 역시 미해군특수전사령부가 모델입니다. 스페셜포스 (SPECIAL FORCES)는 미육군특수전단을 지칭하는것이고 미육군특수전 대원들을 그린베레라고 부릅니다.제 75레인져 연대 (75th RANGER Regiment)는 미육군특수작전사령부에 소속된 경보병 부대입니다. 델타포스나 스페셜포스의 작전을 지원하는 역활을 주로합니다. 포스리콘 (FORCE RECON)은 미해병정찰수색대 (United States Marine Forces Reconnaissance)를 지칭하는 부대이며 MEU는 미해병원정대 (Marine Expeditionary Unit)이며 더 큰규모의 MEF 해병원정군 (Marine Expeditionary Force)입니다.나이트스토커 (Night Stalker)라는 이름의 미공군특수작전사령부 (USAFSOC : United States AirForce Special Operation Command) 소속 부대는 주로 공중수송과 화력지원을 맏고있으며CCT (Combat Control Team)라는 이름의 공중통제팀과 레스큐 (Rescue)라는 이름의 특수구조대가 공군에 소속된 특수부대입니다. SWAT (Special Weapon Attack Team)는 경찰특공대를 지칭하는 부대입니다.
출처 : 네이버지식백과
스페츠나츠 (Spetsanz) 러시아
Spetsnaz스페츠나츠라는 말은 러시아어로 "특수한 목적의 부대" 라는 약자이다.
과거 공산주의 정권 시절 소련은 스페츠나츠라는 특수부대가 소련군 내부에 있다는 사실을 은폐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수만명의 스페츠나츠가 존재하고 있었다. 소련은 없어졌지만 여전히 러시아군대에서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며 구소련 붕괴 후 이들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부호의 경호원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많고 러시아 마피아에 가입하는 경우도 다수 있다. 스페츠나츠 투척술은 정말 유명하다.
출처 : 세계특수부대TOP순위 [작성자 좋은아이]
지젠느 (GIGN) 프랑스
지젠느(GIGN) Groupement D'Intervention De La Gendarmerie Nationale의 약자이다. 1973년 11월 프랑스 정부는 대테러리리스트 특공대 지젠느(GIGN) 을 창설했다.
창설 초기에는 제 1 GIGN과 제 4 GIGN의 2개의 부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1976년에 통합되었고, GIGN의 임무가 점차적으로 늘어나자 1979년에는 핵심 요원을 15명에서 42명으로 보강했고, 1984년에는 58명(장교 6명)으로 증원했다.GIGN은 12명으로 구성된 4개의 타격대(Strike Unit)로 되어 있으며, 4개의 타격대 중 1개 타격대는 비상 대기조로 언제 어디로든 출동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고 24시간 대기하고 있다. GIGN은 인질 구출작전이 주된 임무이지만, VIP에 대한 경호, 주요 시설물에 대한 방어, 극악범 호송 임무도 아울러 수행하고 있다. 다른나라의 특공대와는 달리 GIGN은 전투 수영훈련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해상에서 선박납치 사건이 발생하거나, 해안에 있는 호텔과 같은 위락 시설의 점거와 인질 억류에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창설이후 지금까지 GIGN는 작전에서 실패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6년 지부티에서의 발생한 스쿨버스 인질구출작전, 1979년 사우디 아라비아의 회교 원리주의자들이 일주일간 장악하고 있던 회교성지 메카사원 진압작전, 1983년 파리의 오를리 공항 납치범 제압작전 등이 대표적인 작전이다. 그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구출 작전은 1994년에 발생한 에어 프랑스 항공기 납치사건의 구출작전이다. 알제리의 우아리 부메디엔 공항에서 알제리 회교 원리주의 테러리스트 4명이 자국의 항공기를 납치하여 프랑스의 마르세유 마리난 공항에 강제 착륙시키고 프랑스 정부와 대치하자, GIGN이 투입되어 납치범 4명을 사살하고 인질 1백 70명을 성공적으로 구출했으며 17분간의 작전중 사용한 총탄은 모두 1,500여발 이었다. GIGN은 사우디 아라비아를 비롯한 제 3세계 국가의 대테러리즘 특공대원들의 훈련을 지원하고 있으며, 한국의 특수부대 역시 GIGN부대를 방문하여 대테러리트 특공대 훈련에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인부대 프랑스
외인부대(레종 에트랑제) 프랑스 외인부대는 1831년 당시 프랑스 국왕 루이 필립 1세가 식민지였던 알제리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5개 대대 규모의 용병(傭兵)을 창설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후 외인부대는 프랑스군의 일원으로 전세계 분쟁지역에 동원됐으며, 최근의 걸프전을 비롯, 전 세계에서 3만5천회 이상의 크고 작은 전투를 치러오면서 '용기를 버리기보다는 차라리 목숨을 버리겠다'는 부대 정신을 구축했다. 때문에 모험심에 불타는 전세계 젊은이들이 동경하는 '최강의 특수부대' 중 하나로 꼽힌다.현재 전세계 138개국 출신 8500여명으로 구성돼 있는 외인부대에는 한국인도 수십여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IMF경제난 때에는 외인부대에 지원하려는 한국인들이 급증하기도 했다.외인부대는 국적에 상관없이 만 17∼40세의 남자를 대상으로 신체검사 등 일련의 테스트를 거쳐 선발한다. 어학능력 개인신상 등은 문제가 되지않는다. 하지만 선발 및 훈련과정이 혹독해 지원자의 90%가 탈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대하면 프랑스국적과 함께 프랑스내 각종 공공요금의 70% 할인혜택이 주어진다.
SAS (Special Air Service) 영국
특수부대의 시초로 불리는 SAS (Special Air Service).
그들의 모토는 "무모한자가 승리한다"이다. 영국의 대표선수이자 세계 특수부대의 큰형님이라 할 수 있다. 공군 조종사나 공수부대는 그 성격상 반드시 생존 훈련을 받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생존훈련이야 말로 특수 부대원의 필수 스킬이다. 사하라 사막, 아마존 밀림, 남극대륙에 떨어져서도 적응해 싸울 수 있다. Special Air Service(SAS)영국의 육군공수특전단으로 제2차 세계대전 중인 41년 데이비드 스털링(David Stirling)에 의해 창설된 SAS는 현대적 의미의 특수부대의 원조다. 북부 아프리카 사막에서 독일군 후방 깊숙히 침투, 적을 공격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로 낙하, 잠수, 생존술, 격투기 등 각종 훈련을 받고 칼부터 소형 핵무기 까지 모든 종류의 무기에 달통한 정예요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80년 런던 주재 이란대사관 인질사건 때 10분만에 인명피해없이 상황을 해결했고 북아일랜드, 발칸반도, 걸프전쟁 등에 참전했었다. 특히 걸프전 당시에는 이라크 후방에서 파괴작전을 수행해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사라예트 마트칼 이스라엘
사예레트 마트칼 이스라엘특수부대건국 초기부터 극도로 적대적인 주변국 대비 완전한 병력 열세를 보였기에 자연히 벙력의 정예화에 신경을 기울였다.
그 과정에서 탄생한 대표적 특수부대가 사예레트 마트칼이다. 사예레트 마트칼의 주임무는 장거리 적진 정찰임무이다. (정식 명칭도 일반 정찰임무 부대이다.) 따라서 이는 해병대 포스리컨, 초기의 영국 SAS 등과 유사하다. 이를 통해 정찰임무가 특수부대의 발원지이며 이 임무가 가능한 인력이 곧 특수부대에 적합한 인력임을 알 수 있다. 사이레트 마트칼은 이스라엘이 봉착한 두 번의 위기(우간다 엔테베 공항 납치 사건, 젊은이의 혈기 작전)에서 탁월한 작전능력을 선보였다. 특히 두 건은 모두 자국이 아닌 타국 영토에서의 작전으로서 그 신속성과 용의주도한 작전수행이 돋보였다. 창설 초기 영국 SAS를 모방하였으며 심지어 부대 모토도 그들과 동일하게 '대담한 자가 이긴다'이다. 이는 이스라엘이 건국 초 국방력 건설에 있어 장비에 있어서나 체계에 있어 모두 영국을 모방한 점에 비추어 자연스러운 점이다. 이스라엘특수부대사예레트 마트칼은 그 출신자들이 국가원수, 국방부 장관을 다수 배출하고 있어 전세계 특수부대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역사를 가졌다 하겠다. 특히나 이 부대의 인재산실로서의 기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